고유가 시대가 오면서 이제는 어떻게 하면 자동차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을까 하는 생각들을 많이 합니다. 자동차 연비 높이는 방법으로는 잘 아는 정속운전, 트렁크 안의 짐 비우기, 급출발, 급가속, 급정지 하지 않기, 주유량 줄이기 등이 있지요~
하나 더!~ 내 차가 연비가 어느정도 소모가 되는 지를 알아 보는 것도 자동차 연비 향상 방법에 도움이 되겠지요. 그럼 시내운전시 자동차 연비 계산법과 고속도로 운전시 자동차 연비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 자동차 연비란~ 】
자동차 창문에 붙어 있는 스티커를 보면 그 차의 연비가 나와 있지요. 연비 내용을 보면 1L당 주행거리가 표시되어 있을 겁니다.
네~ 자동차 연비란 자동차가 1L 의 연료를 가지고 얼만큼의 주행거리를 가느냐 입니다. 문제는 악조건이 없는 상태에 규정속도로 움직인 주행거리라 실생활에서 느끼는 연비와 차이가 많이 날 겁니다.
예전에 자동차 연비는 각 자동차회사에서 나온 연비라 실제 체감하는 연비와 많은 차이가 났습니다. 실제 체감할 수 있는 자동차 연비는 자동차를 출발할때와 정지할때도 있고, 빨간 신호등일땐 정지해야 하는 경우, 도로가 안좋은 경우등으로 인해서 많이 좋지 않게 나오거든요.
【 정부공인 표준연비 】
요즘은 차에 붙어있는 연비를 보면 예전과 다르게 정부 신고 연비라고 해서 도심연비와 고속도로연비, 그리고 복합한 복합연비가 있을거에요
도심연비는 낮게, 고속도로 연비는 높게, 이걸 복합한 연비는 중간정도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을 겁니다.
공인연비라 함은 국가에서 규정한 시험과 절차에 따라서 공인 시험기관에서 측정된 자동차의 소비효율을 말합니다.
어떻게 보면 실생활 연비에 많이 가까워 졌다고 할 수 있겠죠. 그래도 공인연비와 체감연비는 다릅니다.
자, 그럼 이제 내 차 연비가 어느정도 되는지를 한번 파악해 보고 차량 등록증이나 차 문에 붙어 있는 스티에 표시되어 있는 연비와 비교를 해 볼까요~
먼저, 도심연비입니다. 도심연비는 출퇴근한다거나 차를 이용할때, 차가 멈추어 있는 상태에 공회전을 할때를 체크를 하여서 얼만큼의 연비가 나오는 지 보는 거에요.
【 나의 차량 연비 계산법 - 도심연비 】
1. 차에 기름을 가득 넣고 거리계는 초기화를 해 줍니다. 그리고 평상시처럼 운전을 합니다. 그냥~ 아주 편하게 운전을 하고 다니면 됩니다. 그러면 연료게이지가 절반 눈금 이하로 떨어질 거에요.
2. 절반 눈금 이하로 떨어지면 또 절반정도 떨어질때까지 운전을 하고 다닙니다. 이제 절반의 절반정도 떨어졌다 싶으면 기름을 가득채워주세요~ 이때 반드시 주행거리를 체크해야 합니다.
3. 얼만큼 주유가 되었나요? 예를 들어 주유량이 30L 정도 되었다고 볼까요~ 주행거리는 300km를 갔다고 해볼께요~
4. 이제 계산을 해 볼까요~
300km ÷ 30L = 10km 가 되지요~
- 이 결과는 내가 도심에서 운전한 상태의 결과입니다. 몇번 더 테스트 하여 평균을 내면 내 차 연비 상태를 더 자세히 알 수 있을 겁니다.
5. 다른사람이 타고다니는 같은 모델 차량의 연비와 비교를 하였을때, 다른사람 연비가 높게 나오면 나는 운전습관이 안좋은 편이고, 내가 높게 나오면 나의 운전습관이 좋은 것으로 보면 됩니다.
【 나의 차량 연비 계산법 - 고속도로 】
1. 도심연비도 체크했겠다. 이제 멀리 떠나 볼까요~ 부산이나 강원이나 어디를 간다고 봅시다. 부산 간다고 볼까요~ 체크방법은 도심연비와 같습니다.
톨게이트 이전에 기름을 가득 넣고 주행거리계를 초기화 한 다음 부산을 갑니다. 가다가 중간에 연료가 바닥나면 주유소에서 연료를 가득 넣고 얼만큼 들어갔는지 양을 체크하여 줍니다.
2. 부산을 도착하게 되면 다시 기름을 가득 넣어 주고 들어간 양을 체크하여 준 다음, 두번 넣은 주유량과 주행거리를 체크하여 줍니다.
4. 다시 부산에서 출발지로 갈때도 똑같은 방법으로 주유하고 주유량과 주행거리를 체크하여 줍니다.
5. 계산을 해 볼까요~ 왕복 주행거리가 900km이고 70L 정도의 주유량이 들어 갔다고 하면~
900km ÷ 70L = 12.86km 정도 나오네요.
그럼 내가 운전하는 차의 고속도로 주행 연비는 1L 당 12.86km 정도 됩니다. 어때요~ 차량 연비 계산법이 그렇게 어렵지 않지요~
당신이 운전습관은 좋은가요? 안좋은가요?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의금, 조위금, 부의금, 부조금의 의미는? (0) | 2017.03.13 |
---|---|
부고장양식, 부고문자양식, 부고알림문자 보내는 방법등 (0) | 2017.03.11 |
자동차 연비 향상시키고 높이는 방법으로 연비절약~ (0) | 2017.03.10 |
[뚜껑 여는법] 캔, 유리병등의 뚜껑 안열릴때 쉽게 열기 정리 (0) | 2017.02.06 |
다이소 영업시간, 휴일(휴무일, 매장 쉬는날)에 대해~ (0) | 2017.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