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습(除濕)은 없앨 제, 젖을 습 으로 젖은 것을 말린다라는 의미로, 제습기는 젖어 있는 습한상태를 말려주는 기계를 말하고, 제습제는 습기를 빨아들여 주변 습기를 없애는 제품을 말합니다.
제습기는 LG, 삼성, 노비타, 코웨이, 위닉스등 많은 판매업체가 있고, 제습제는 대표적으로 물먹는 하마가 있구요. 이외에도 숯과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제습제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천연제습제인 숯과 물먹는 하마를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물먹는 하마를 사용한 후에는 직접 제습제를 만들어 사용했어요.
현재는 숯은 장롱, 서랍장등 여러군데에 넣어 두고 있으며, 디에떼 제습기를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고, 물먹는 하마등 제습제는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럼, 제습기에 대해서 알아본 후 사용을 다한 물먹는 하마로 제습제 만들기를 해볼까 합니다. 또, 제습기, 숯, 제습제등을 비교해볼까 합니다.
제습기 원리는 간단합니다. 제습기가 가동되면 바람이 나옵니다. 그럼 다른 방향에선 습한 바람이 제습기 안으로 빨려 들어가지요. 이 습한 바람이 제습기 내부의 냉각기와 접촉을 하면 이슬로 변하여 제습기 물받이로 떨어지게 됩니다. 물양을 보고 가득차면 비워주면 됩니다.
가지고 있는 디에떼 제습기 기능을 보면 인공지능 자동 제습기능, 편리한 꺼짐/켜짐 예약 기능, 저소음 운전기능, 향균필터, 자동제상기능, 풍향조절, 편리한 이동성등 많네요. 그리고 100% 국내 생산입니다.^^
제습기 효과는 주변의 습기를 제거해주어서 뽀송 뽀송하게 만들어 줍니다. 빨래가 아주~ 잘 마릅니다. 신발도 말릴 수 있습니다.
문제라면 문제가 있는데요. 다른 제습기는 모르니, 제가 사용한 제습기에 대해서 적습니다. 하필 제습기 사용하는 때가 여름이잖아요~ 제습하려다 보니 제습기 온도가 좀 높습니다. 그래서 더운 바람이 나옵니다. 이런~
제습 비교 사용기
비오거나 장마철에 습기제거용으로 구매한 제습기, 제습제, 직접 만든 제습제, 숯등에 대해서 비교 사용기를 적어봅니다.
1. 구매한 제습제.
- 여기 저기 장롱,서랍장등등에 놓기 쉽다.
- 물이 차는것을 확인해야 한다.
- 물이 가득차면 버려야 한다.
- 버리고 나면 다시 구매를 해야 한다.
2. 제습제 만들기.(옷장 습기 제거제 만들기)
-다쓴(사용한) 물먹는 하마등 제습제를 사용하여 제습제 만드는 방법입니다.
※ 다 사용한 제습제의 위 커버를 조금만 열어서 물을 버립니다. 그리고는 염화칼슘을 넣어 준 후에 반창고등으로 옆부분을 막아 줍니다.
- 구매한 제습제를 계속하여 추가 구매하는 것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 구매한 제습제중 사용다한 제습제에 염화칼슘을 넣어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 만드는 방법이 어렵지 않습니다.
- 물이 차는것을 가끔 확인해야 합니다.
- 물이 가득차면 버려야 합니다.
- 물을 버린 제습제 안에 다시 염화칼슘을 넣어서 제습제를 만들어야 합니다.
3. 천연 제습제 숯(옷장 습기 제거제)
- 그냥 사서 옷장, 서랍장등 몇군데 놓아두고 아직도 계속 사용중이다.
- 제습이 되는 지는 잘 모르겠다.
- 그냥, 아무것도 안하고 놓아 두고 있다.
- 현재에도 놓아둔 곳에 아주 잘 있다!~
4. 제습기
- 직접 만든 제습제를 더이상 만들지 않고 제습제를 구매하였다.
- 현재~ 집에서 효자노릇을 톡톡히 한다.
- 제습이 짱이다!
- 물이 차면 버려야 한다.
- 제습량 물통용량이 4.5L 인데, 단기간에 물이 찬다.
- 소비전력이 조금 들어간다.
- 무게가 제습제보다 상당히 무겁다.
- 빨래를 말리기에 짱이다. / 저녁에 빨고 다음날 입을 수 있다.(가벼운 빨래)
* 제습기의 사진은 한쪽만 올립니다. 광고하는게 아니라서...
확실히 제습기는 사용값을 하는 제습기를 골랐네요. 제습기에도 뽑기 운이 있으려나~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성코드 랜섬웨어 예방법과 치료법, 걸리면 복구 어려워 피해가 큼 (0) | 2017.05.15 |
---|---|
행운의 네잎 크로바(클로버) 멋있게 깔끔하게 뜯는 법 (0) | 2017.04.25 |
사전투표기간, 선거일 투표시간 보장받아 투표하자 (4) | 2017.04.19 |
주민등록번호 변경제도 시행, 2017년 5월 30일부터 변경가능 (2) | 2017.03.31 |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 주민등록증 번호의 비밀을 풀어보자 (1) | 2017.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