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
아이가 태어나 해당 읍, 면, 동 주민센터에 1개월 이내에 출생신고를 하면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징표로 '주민등록번호'가 장부에 기재가 됩니다.
자라서 일정한 나이가 되면 살아가는데 필요한 '주민등록증'을 발급해 주는데, 이 증에는 장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민등록번호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기재되어 있는 주민등록증 앞자리는 한눈에 봐도 생년월일을 뜻하는지 알겠는데, 뒷자리는 뭐지 하는 궁금증이 생길겁니다.
그럼 주민등록증 뒷자리 의미를 한번 볼까요.
참고로 지금까지 변경할 수 없었던 주민번호 뒷자리 일정부분은 변경이 가능합니다.
2017년 5월 30일부터 주민등록번호 변경제도가 시행되니 개인정보 유출이 되었거나 유출 우려가 있다면 주민번호 변경을 한번쯤 생각해봐도 될 듯 합니다.
주민번호 변경을 불가능한 부분과 가능한 부분을 왜 나누는 지는 주민등록번호 의미를 분석해 보면 이해가 될 겁니다.
【 주민등록증 번호를 풀어보다 】
주민등록증 번호는 앞자리 숫자 6개 - 뒷자리 숫자 7개 입니다.
예) 1 5 0 1 0 2 - 3 4 5 6 7 8 7
위 번호를 예로 설명하겠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앞자리 의미
주민등록번호 앞자리 6개는 생년월일을 나타냅니다.
주민번호 앞자리 1, 2번째인 1 5 는 태어난 년도를 나타내며 3, 4번째인 0 1 은 태어난 월을 나타내고 5, 6 번째인 0 2 는 태어난 일을 나타냅니다.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7개는 각각의 의미가 다릅니다.
뒷자리 1번째인 3 은 남성, 여성을 나타냅니다.
주민등록번호 성별은 1900년대, 2000년대 주민번호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1900년대에 태어난 남성은 '1' 여성은 '2', 2000년대에 태어난 남성은 '3' 여성은'4'로 표시됩니다.
2, 3번째인 4 5 는 해당 지역번호를 나타냅니다.
서울 00~08
부산 09~12
인천 13~15
경기 16~25
강원 26~34
충북 35~39
대전 40
충남 40~47
전북 48~54
전남 55~66
광주 65~66
대구 67~69
경북 67~80
경남,제주 81~99
울산 85
4, 5번째인 6 7 은 출생신고하는 읍, 면, 동 주민센터 고유번호입니다.
6번째인 8 은 출생신고일에 주민센터에 접수된 순서입니다.
8은 이날 8번째로 접수하였다는 의미인데, 혹시 10번째부터는 어떻게 표시하느냐는 의문도 생길 것입니다. 이때는 해당 주민센터 고유코드를 변경합니다. 의문이 풀렸나요?
마지막 자리 7번째인 7 는 주민등록번호 검증번호입니다.
주민번호 12자리가 맞는지 확인해 주는 검증번호인데 사칙연산으로 정해집니다. 각각의 자리수에 2, 3, 4, 5, 6, 7, 8, 9, 2, 3, 4, 5 로 곱하여 전부 더해준 후에 11로 나눈 다음, 나머지가 나오면 11로 빼준 후의 숫자가 검증번호입니다.
검증방법 예시
(위 예시 주민번호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 1 x 2 ) + ( 5 x 3 ) + ( 0 x 4 ) + ( 1 x 5 ) + ( 0 x 6 ) + ( 2 x 7 ) + ( 3 x 8 ) + ( 4 x 9 ) + ( 5 x 2 ) + ( 6 x 3 ) + ( 7 x 4 ) + ( 8 x 5 ) = 192
192 ÷ 11 = 몫: 17, 나머지: 5
11 - 5 = 7
스마트폰으로 보고 있다면 홈버튼을 누른 뒤에 자신의 주민등록증 숫자를 한번 계산하여 보세요.
어때요 주민번호 확인해 보니 일치하나요?^^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전투표기간, 선거일 투표시간 보장받아 투표하자 (4) | 2017.04.19 |
---|---|
주민등록번호 변경제도 시행, 2017년 5월 30일부터 변경가능 (2) | 2017.03.31 |
2017년 4월 착한 실손의료보험 개정변경, 실비개편, 할인혜택 (0) | 2017.03.28 |
관세청 개인통관고유번호(부호) 조회 발급 주소 오류등 (1) | 2017.03.27 |
가상현실 쇼핑몰(VR)서 쇼핑! 10월 코리아세일페스타서 공개 예정~ (0) | 2017.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