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가스 레인지 대신 많이 사용하는 툭탑, 전기레인지, 인덕션 전기요금 계산을 해 볼까 합니다. 전기요금이 얼마나 더 나올까요?
전기레인지를 어디서는 인덕션이라고 하는데요. 총칭을 전기레인지라고 하고 여기에 인덕션, 하이라이트등 기기가 속해 있다고 보면 됩니다.
전기레인지든 인덕션이든 그냥 편하게 부르면 됩니다.
보면은 예전부터 전기를 이용하고 내는 요금을 전기세라고 많이 하는데요. 전기세가 아니라 전기요금이 맞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니, 인덕션 전기세보단 인덕션 전기요금이 맞을거에요. 그럼 전기레인지, 인덕션 전기요금이 어느정도 나오는 지 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전기레인지, 가스레인지 사용료 비교 |
한국소비자원의 조사에 의하면 인덕션 전기레인지, 가스레인지, 라디언트 전기레인지에 같은 양의 물을 끓이는 경우 비용은 인덕션 < 가스레인지 < 라디언트 순으로 인덕션이 가장 적게 나온걸로 나타났네요.
인덕션 전기레인지를 사용하였을 때 발생하는 비용을 100으로 본다면 가스레인지는 103, 라디언트는 124 정도로 전기료 누진제를 감안하더라도 부담스러운 수준은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전기요금, 어느정도 더 나올까? |
<예를 든 금액>
한 달에 200kwh의 전기를 사용하는 가정의 월 전기료가 22,240원 나온다고 보겠습니다.
전기레인지 1개 버너(하이브리드 모델 중간 사이즈 버너 기준)의 시간당 소모 전력은 약 1.65kw로 매일 30분씩 30일 정도 사용한다고 하면 약 25kwh(1.65kw x 0.5h x 30)의 전력이 추가로 들어갑니다.
이 두 사용 전력을 합산하면 한 달간 225kwh의 전력을 사용하는 셈인데요. 여기에 누진제를 적용하면 발생 비용은 2만8370원이 됩니다.
6000원가량이 더 드는 걸로 기존에 사용하던 가스요금을 빼면 추가 비용이 어느정도 되는지 대략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실제 사용을 하는 전기레인지의 예상 전기료를 직접 계산해볼 수도 있어요. 전기레인지 버너 1개가 소모하는 전력(1.65kw)과 예상 사용 시간을 곱한 후 전기레인지 사용 이전 월 소모 전기량을 더하면 전기레인지 사용 시 소모 전력량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이 수치를 전력 사용량 계산 공식에 넣어 보면 예상 전력 사용량이 나옵니다.
한국전력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편하게 계산하는 방법이 나오는데, 수치만 넣으면 계산이 되니 한전 홈페이지에서 계산해 보아도 됩니다.
전기레인지 부착 스티커 금액 의미 |
전기레인지에 보면 스티커가 붙어 있는데요. 그곳에는 매년 금액이 나와 있습니다. 이 스티커에 적힌 금액에 대해서 알아 볼께요.
<위 금액을 보세요>
이 금액은 한국에너지공사 표준 기준으로 하루 세 번, 모든 버너를 30분씩 사용했을 때(15℃의 물을 90℃까지 데운 후 유지하는 기준) 1년치를 계산해 얻은 액수를 적어 놓은 겁니다.
이는 정부 가이드 기준으로 실제 사용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최대 출력인 6.6kw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출력을 3kw 정도로 사용한다고 했을 때 실제 금액은 절반 수준으로 줄어 들 수 있습니다.
최대 출력을 적용시키면 사용시간이 줄어들어서 실제는 이보다 적게 나온다고 하는데요. 전기레인지 사용량에 비례해 절약되는 가스요금도 생각을 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레인지, 인덕션 전기요금이 얼마정도 나올지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24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양육수당 출산지원금 온라인 신청 (0) | 2017.11.29 |
---|---|
2017년 28회 공인중개사 합격자 발표 확인 자격증 교부 방법 (0) | 2017.11.29 |
다이소 신발 클리너 운동화 슈즈 크리너 (0) | 2017.11.26 |
현대 제네시스 EQ900 전시장에서 찰칵 (0) | 2017.11.26 |
환율관찰대상국 뭐길래 한국이 포함된거지 (0) | 2017.11.21 |
댓글